유연근무제, 시차 출ㆍ퇴근 제도로 시간선택제 활용.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연근무제, 시차 출ㆍ퇴근 제도로 시간선택제 활용.

by Bang cho ri 2025. 1. 13.
반응형

 

 

 

유연근무제는 시차 출ㆍ퇴근 시간 제도를 도입하여 근무시간을 선택 활용하는 제도입니다. 유연근

무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근로 시간과 근로장소 등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출ㆍ퇴근 시간과 근무시간

을 선택 조정하여 일과생활에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인력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근무방식입

니다.

 

유연근무제.

 

⦁ 유연근무제는 시차 출 ㆍ퇴근제, 선택근무제, 재택근무제, 원격근무제의 네 가지 제도로 내가 원하

  는 시간, 내가 원하는 곳에서 편안하게 업무를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최근 유연근무 도입 기업들과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0% 이상 ‘만족한다’고 답했습니

  다.‘일∙생활 균형,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고 있는 셈입니다.

유연근무제의 시차 출ㆍ퇴근제.

⦁ 유연근무제 시차출퇴근제는 기존의 근로시간을 준수하면서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1일의 소정근로시간을 준수하면서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방식

⦁ 하루 8시간 근무하면서 출퇴근시간을 선택해서 일찍 출근하고 일찍 퇴근하거나 늦게 출근하고 늦

  게 퇴근하는 것입니다.

⦁ 시차출퇴근제는 출퇴근의 혼잡 피하고 자녀 등하원, 등 학교, 자기 계발, 취미생활 등을 할 수 있을

  며 통근부담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유연근무제의 재택근무제.

⦁ 재택근무제는 근로자가 정보통신기기 등을 활용하여 주거지에서 업무공간을 마련하여 근무하는

  방식입니다.

⦁ 재택근무는 편안한 공간에서 차분하게 집중하여 업무성과를 효율적으로 높일 쉬 있습니다.

⦁ 출퇴근 시간을 활용하여 자녀들과 놀이시간을 갖게 되어 좋습니다.

⦁ 재택근무는 효율적인 재택근무 활성화를 위해 근무시간이 아닌 업무성과중심의 평가 관리가  필

  요합니다.

 

 

유연근무제의 선택적 근무제.

1개월(신상품 · 신기술의 연구개발 업무는 3개월) 이내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

  시간이 40시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무의 시작 · 종료시각 및 1일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제도.

⦁ 선택적 근무제는 시업시작, 종업시작,  그리고 하루 총 근로시간을 근로자의 선택에 맡기는 제도를

  선택적 근로시간제 라고 합니다.

⦁ 취업규칙과 근로자와 대표와의 서면 합의를 해야 합니다.

유연근무제의 원격근무제.

보통 사무실에서 수행하는 일을 주거지, 출장지 등과 인접한 원격근무용 사무실에서 처리하거나,

  외부장소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식.

 

유연근무제의 근로자 측.

경력단절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2시간 걸리는 사무실로 출근하려면 아침 6시 반엔 집에서 나와야 하고. 퇴근하면 밤 9시나 돼야 집에 도착합니다. 너무 힘들어서 그만둘까 심각하게 고민했는데 재택근무를 한 후부터 그런 생각이 싹 사라졌습니다.

 

근로자의 업무 집중도와 효율이 증대합니다.

재택근무를 하면서 지옥철 공포증에서 벗어나고, 출퇴근하던 시간이 절약되면서 체력도 좋아졌고 이리저리 허비하는 시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업무집중도가 더 높아집니다.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재택근무는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에겐 환상적인 근무방식입니다.. 안심하고 일을 할 수 있으니까 집중력이 높아져서 업무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애사심과 충성도가 높아집니다..

일주일에 4일은 집에서 가까운 거점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고.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찾는 문제가 해결돼서 마음 편하게 일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고마운 마음이 들어서 업무에 대한 마음가짐이 적극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자기 계발의 기간이 늘어납니다.

남들보다 2시간 일찍 출근하고 일찍 퇴근하고 있어요. 오후 4시에 퇴근해서 대학원 공부를 하고 있는데 평소 하고 싶었던 공부를 할 수 있어서 행복해요. 열심히 공부해서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되고 싶어요

 

유연근무제의 기업 측.

기업의 업무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숙련인의 이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직원들의 조직만족도와 직무몰입도 증대 됩니다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젊은 인재들은 보상, 승진 같은 전통적인 동기부여 요소보다 조직으로부터의 인정, 성장기회, 업무

에 대한 자기 주도성, 일과 삶의 균형 등에서 더 큰 몰입과 충성도를 느낍니다. 유연근무제는 그 자체

만으로도 큰 유인요소로 작용합니다.

 

https://www.worklife.kr/website/index/index.asp

 

고용노동부 일생활균형

일과 삶의 균형으로 일도 생활도 즐겁게

www.worklife.kr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